티스토리 뷰

반응형

배상이란? 보상이란? 그리고 차이점에 대하여 알아보자!

우리의 일상생활에서는 자주 일어나는 상황은 아니지만, 가끔씩 주변에서 배상과 보상이라는 단어를 듣게 됩니다.

보험에서도 '일상책임배상보험'이 있는가 하면, 특정지역에서의 땅을 매입되는 상황에서 일정 금액의 보상을 받았다는 말도 듣게 됩니다.

그런데, 여기에서 사용된 배상과 보상의 차이점이 무엇인지는 알고 계신가요?

어떤 경우가 배상의 경우고, 또 어떤 경우가 배상의 경우인지 아는 것과 때에 따라 적합한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생각보다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듣고 그냥 넘기는 우리의 입장이 아닌 피해자의 입장에서는 어떤 일.사건에 대한 의미를 다르게 인식하고 있다는 반증이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배상과 보상의 뜻과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같이 알아볼까요?

 

 

목록

▣ 배상과 보상
▣ 잘못 사용된 예
▣ 마무리...

 

▣ 배상과 보상

배상과 보상은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금전적으로 손해를 갚아준다는 의미에서는 같지만, 그 의미를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그래서 정확하게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배상(賠:배상할 배, 償:갚을 상) : 가해자가 불법적으로 피해를 입혔을 경우, 피해자에게 금전적으로 갚아주는 것. 

배상이란? 가해자가 법을 어기는 방식으로 피해를 입혔고, 그로인해 피해자가 입은 손해에 대해서 금전적으로 갚아주는 경우 사용될 수 있는 단어입니다.

다음의 경우는 언론에 나온 배상의 경우입니다.

조국 '정경심이 도피 지시' 보도 손배소... 法 "1000만원 배상" - 중앙일보

위의 경우, 법원에서 허위기사를 작성한 기자를 상대로 배상 판결을 낸 보도입니다. 허위기사는 엄연한 불법행위입니다.

 

 

신혼 5개월 경찰관과 40대女 불륜... 법원 배상 명령 - 이데일리

불륜... 당연히, 불법이죠!

 

보상(報:갚을 보, 償:갚을 상) : 가해자가 적법한 행위지만 피해를 입혔을 경우, 피해자에게 금전적으로 갚아주는 것. 

보상이란? 보상과는 반대의 의미로, 법으로 어긋난 행위가 아닌 적법한 행위이긴 했지만, 그로 인해서 피해자가 발생했을 경우, 피해자가 입은 손해를 금전적으로 갚아줄 때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이렇듯, 두 단어가 정반대의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확하게 알고 사용하셔야 합니다.

불법인지? 적법인지? 에 대한 부분도 있지만, 사건. 사고에 대한 문제의식에 대한 차이로 봐도 되기 때문입니다.

다음의 보상에 대한 언론에 나온 기사 내용입니다.

첨단산업 자족도시 '용인 플랫폼시티' 토지 보상 절차 시작 - 연합뉴스

적법한 절차로 인해 토지를 매입했다면, 당연히 그에 합당한 금액을 지불해 주는 것은 당연한 것이지요!

세종시, 9가지 자연재해 보상... 보험료 70~87% 지원 - 브릿지경제

자연재해는 어쩔 수 없는 천재지변이지만, 나라가 있는 이유는 국민의 안전과 행복을 보장해야만 하기에 이처럼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답니다.

 

 

▣ 잘못 사용된 예

위에서 살펴보았지만, 명확하게 구분되어 사용되어야 할 두 단어가 잘 알지 못해서? 아니면 해당 사건에 대한 인식의 차이로 잘못 사용된 예들이 있습니다.

언론에 나온 기사를 보며 그 예들을 함께 보도록 하겠습니다.

尹"강제징용 문제, 일본 우려하는 주권 충돌 없이 보상받을 방안 강구 중" - 세계일보

여기에는 보상이 맞을까요? 배상이 맞을까요? 여러분의 생각은?

일본의 전범기업 강제징용 피해자들에 관한 질문에 대한 윤 대통령의 대답이었습니다.

윤미향, 위안부 합의 전 '10억 엔 보상' 알았다... 외교부 '면담 문서' 공개 - TV조선

일본으로부터 받은 돈은 보상이 맞을까요? 배상이 맞을까요?

  

돈을 받느냐? 못 받느냐?를 중요시한다면 보상이든, 배상이든 상관이 없다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돈의 문제가 아니라, 사건에 대한 문제의식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보상이라고 한다면, 일본의 강제징용과 위안부 문제가 법적으로 마무련 문제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고, 배상으로 받아야 두 사건에 대해서 법적으로 문제가 있는 행위였다는 걸 인정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일본에서도 배상이라는 단어를 절대로 쓰지 않고 있는 것입니다.

 

 

▣ 마무리...

지금까지 배상이란? 보상이란? 그리고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여러분은 두 단어에 대해서 얼마나 큰 차이점을 느끼셨는지 모르지만, 개인적으로는 매우 큰 차이를 느꼈으며, 앞으로는 조금 더 주의 깊게 사용하며, 언론에서도 어떻게 사용하는지 더 유심히 지켜볼 생각입니다.

별거 아니라면, 별게 아닐 수 있는 문제지만, 이러한 하나하나로 인해서 사람들의 인식을 조금씩 바꾸려는 언론의 플레이에 넘어가지 않으려면, 앞으로도 일상 중 그냥 사용하는 단어들에 대해서도 공부가 필요하다고 보입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알아가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