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엘리뇨 현상과 라니냐 현상"은 태평양 해역에서 발생하는 기후 현상입니다. 엘리뇨 현상은 태평양 동부에서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면서 일어나며, 라니냐 현상은 그 반대로 태평양 동부에서 해수면 온도가 하강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현상들은 지구 기후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전 세계적으로 이상기후와 생태계 등에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엘리뇨 현상과 라니냐 현상의 원인, 영향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엘리뇨와 라니냐 현상이란?
엘리뇨와 라니냐 현상

 

목차

▣ 엘리뇨와 라니냐
▣ 엘리뇨와 라니냐 원인
▣ 엘리뇨와 라니냐 영향

 

 

엘리뇨라니냐

엘리뇨와 라니냐 현상이란? 적도를 중심으로 부는 무역풍이 태평양의 동쪽과 서쪽의 해수면 온도를 변화시키며 생기는 현상을 말합니다.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 엘리뇨 현상

태평양을 동대평양과 서태평양으로 나눠서 보았을 때, 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아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 라니냐 현상

라니냐 현상은 엘리뇨 현상과 반대로, 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 보다 낮아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엘리뇨 라니냐 원인

지구의 중간인 적도 지방에는 1년 내내 동쪽에서 서쪽으로 부는 '무역풍'이 붑니다. 그런데 아직까지 밣혀진 것이 없는 이유로 인해서 무역풍이 느려지거나, 빨라지는 현상이 2년에서 늦게는 7년 사이로 발생을 합니다. 이러한 현상으로 '엘리뇨와 라니냐 현상'이 발생을 합니다.

■ 엘리뇨 현상

평소에는 무역풍으로 인해서 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서태평양의 해수면 온도 보다 약 8도 정도 낮다고 합니다. 이유는 동에서 서쪽으로 부는 무역풍으로 인해서 해수면 온도의 차이가 생기게 되는 건데요, 엘리뇨 현상은 위에서 말한 원인 중 무역풍이 느려지면서 생깁니다. 바람이  느려지면 당연히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아지겠죠!

 

 

■ 라니냐 현상

라니냐 현상은 엘리뇨 현상과 반대의 현상이니까? 무역풍이 평년보다 강하게 불어서 동태평양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엘리뇨 라니냐 영향

이러한 '엘리뇨와 라니냐 현상' 현상은 지구에 여러 가지 영향을 가져옵니다.

 

■ 엘리뇨 현상

평년보다 높아진 동태평양 지역에서는 습한 기운이 생성이 되어, 폭우와 그로 인한 홍수가 발생합니다. 반면에 서태평양 지역에서는 평년 보다 온도가 낮아진 해수면 온도로 인해서 습한 기운이 사라져, 건조한 기후로 인한 가뭄이 발생하게 됩니다.

■ 라니냐 현상

라니냐 현상 시에는 엘리뇨와 반대라고 보시면 됩니다. 동태평양 지역은 가뭄과 한파 그리고 서태평양 지역은 폭염과 홍수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엘리뇨 현상과 라니냐'는 2~7년 주기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현상을 일으키는 무역풍의 속도변화에 대한 원인은 지금까지도 알 길이 없다고 합니다.

그저 우리는 대비하는 것만이 최선이라는 말이기도 합니다.

지금까지 ''엘리뇨 현상과 라니냐 현상'이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https://1004-tirol.tistory.com/263

 

올해, 장마 시작과 기간 그리고 역대 피해사례

장마는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계절적인 기후현상으로, 일반적으로 6월 중순부터 7월 말까지 지속됩니다. 이 기간 동안 비가 지속되면서 수해, 산사태 등 다양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

1004-tirol.tistory.com

 

댓글